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장연노씨(長淵盧氏)
유래
시조 : 노구(盧坵)
시조 노구(盧坵)는 도시조 노수(盧穗)의 넷째 아들로 고려에서 공을 세워 장연백(長淵伯)에 봉해졌다. 노구의 아들 노안필(盧安弼)은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거란(契丹)의 침입을 토벌하여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장강군(長康君, 장연의 옛 지명)에 봉해졌으므로 본관을 장연으로 하게 되었다. 인물
7세손 노단(盧旦, 초명은 노조)이 고려 문종때 문과에 급제하여 시어사(侍御史)·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예부 상서(禮部尙書)와 좌복야, 우복야를 지내고 참지정사(參支政事)에 이르렀고, 최충(崔沖)과 함께 사숙(私熟)을 열어 후진교육에 힘써 많은 인재를 배출했는데 이를 12공도(公徒)의 하나인 광헌공도(匡憲公徒)라 하였다.
그의 후손에서 고려 공민왕 때 일등공신(一等功臣)으로 정승(政丞)을 거쳐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 國崇祿大夫)에 오른 노명신(盧命臣)은 슬하에 아들 3형제를 두었는데, 이들이 모두 현달(縣達)하여 장연 노씨의 3대 산맥을 이 루었다. 노명신의 맏아들 노국주(盧國柱)는 충목왕때 이부 판사(吏部判事)를 지내고 창녕(昌寧) 월미촌(月未村)으로 이주하였으며, 둘째 노태주(盧台柱)는 호군(護軍)을 역임했다. 셋째 아들 노성주(盧誠柱)는 삼한삼중대광보국벽상좌명공신(三 韓三重大匡輔國壁上佐命功臣)으로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에 올라 크게 명성을 떨쳤으며, 그의 아들 노찬(盧贊)이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과 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를 역임하여 가문을 대표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노상흠(盧尙欽, 1607 丁未生) : 문과(文科) 효종8년(1657) 식년시 병과(丙科)
노상현(盧尙賢, 1610 庚戌生) : 문과(文科) 인조11년(1633) 식년시 병과(丙科) 노장(盧𤍤, 1842 壬寅生) : 문과(文科) 고종22년(1885) 별시 병과(丙科) 노인진(盧仁瑱, 1579 己卯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식년시 병과(丙科) 노후설(盧后卨, 1600 庚子生) : 문과(文科) 인조8년(1630) 식년시 병과(丙科) 노상의(盧尙義, 1610 庚戌生) : 문과(文科) 인조8년(1630) 식년시 을과(乙科) 노대민(盧大敏, 1565 乙丑生) : 문과(文科) 광해군4년(1612) 식년시 병과(丙科) 노원익(盧元益)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노상흠(盧尙欽, 1607 丁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효종2년(1651) 식년시 이등(二等) 노경래(盧警來, 1639 己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현종14년(1673) 식년시 이등(二等) 등 모두 2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7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19명) 세거지
-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주매리
-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안리 - 평안남도 대동군 율리면 강당리 - 평안남도 대동군 검산면 검서리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장연
장연(長淵)은 황해도 서단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장연(長淵) 또는 장담(長潭)으로 불렸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폭지군(瀑池郡: 海州)에 소속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 옹진군(瓮津郡)에 속했으며, 1106년(예종 1)에 처음으로 감무(監務)를 두었다. 1392년(태조 1) 만호(萬戶)로 하여금 현관인 감무를 겸하게 하다가 1402년(태종 2)에 진(鎭)을 설치하여 병마사(兵馬使)로써 판현사를 겸하게 하였다. 1414년(태종 14) 지금의 목감면(牧甘面) 서쪽에 있던 영강현(永康縣)과 합하여 연강(淵康)으로 개칭하였으며, 후에 청송현(靑松縣: 신천군 용문면 일대)으로 편입시켰던 해안현(海安縣)을 다시 합치고 장연으로 환원하였다. 1623년(광해군 15) 도호부(都護府)로 승격하였고, 1728년(영조 2) 현으로 강등하였다가 1737년 다시 부(府)가 되고, 순조 때 다시 현으로 강등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장연군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장연노씨는
1985년에는 1,865가구 7,456명, 2000년에는 2,672가구 8,39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0,907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