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풍천노씨(豊川盧氏)
    유래
     시조 : 노지(盧址)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셋째 아들 노지(盧址)가 고려때 풍천백(豊川伯)에 봉해졌고, 그의 후손 노유(盧裕)는 국자진사(國子進士)로 풍천(豊川)에 살아오면서 후손 들이 노유를 1세조로 하고 본관을 풍천으로 하게 되었다.
    인물
    세종 때 치평요람(治平요覽)의 편찬에 참여하여 무명을 떨친 노숙동(盧叔仝)이 대사헌(大司憲)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그의 손자 노문명(盧文明)은 정여창(鄭汝昌)에게서 학문을 배우고 형 노우량(盧友良), 아우 노우영(盧友英)과 함께 진사시(進士詩)에 합격하여 삼주(三珠)로 불리웠고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추천으로 현릉 참봉(顯陵參奉)이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었다. 한편 노우명(盧友明)의 아들 4형제 중 둘째 노진(盧鎭)은 30여 년 간 벼슬길에 있으면서도 청백(淸白)하기로 이름났다. 연려실기술(燃黎室記述) 선조조명신편(宣祖朝名臣編)에 그에 대한 기록이 아래와 같이 전한다. 들에 밭이 없고 서울에 집이 없었다. 여러 고을의 원을 지냈고, 영호남에서 두번 감사를 역임하였으나 쓸쓸한 객사에서 손님이 와도 담요 한 장 없이 지냈으며, 출세를 즐기지 않고, 항상 은퇴의 뜻이 있어 벼슬길에 나온 지 30년에 달하였으나 벼슬한 날수는 3년을 차지 못하였다. 특히 그는 아무리 높은 자리에 있었을 때도 남다른 척하지 않고 인망(人望)이 높았다고 격찬하였으며, 모나게도 살지말되 또 시풍에 영합하여 때에 따라 겸하였기로 일찌기 이율곡도 처신하며 살지도 말라는 처세신조로 일생을 보냈다. 함양(咸陽)의 효자로도 8도에 소문났었고, 당대의 대문장가(大文章家)로 선조의 스승이기도 했던 그는 증조부 노숙동(盧叔仝)과 함께 청백리(淸白吏)에 올라 가문을 빛냈다. 그외 임진왜란 때 동래성(東萊城)을 지키다가 순절한 노개방(盧蓋邦, 계동의 6세손)과 인조 때 사림(士林)의 존경을 받아 팔미군자(八美君子)의 별호(別號)가 붙었던 노형하(盧亨夏, 노진의 증손자)가 유명했고, 노우량(盧友良)의 6세손 노전(군수 노홍기의 세째 아들)은 무과에 급제하고 함경북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가 되어 군비확장과 변방경비에 눈부신 업적을 남겨 호조참판(戶曹參判)을 지낸 노광두(盧光斗)와 함께 명문의 전통을 지켰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노곤(盧鯤) : 문과(文科) 중종39년(1544) 별시 병과(丙科)
     노세남(盧世南, 1660 庚子生) : 문과(文科) 숙종16년(1690) 식년시 병과(丙科)
     노광두(盧光斗, 1772 壬辰生) : 문과(文科) 순조14년(1814) 식년시 병과(丙科)
     노숙동(盧叔同, 1403 癸未生) : 문과(文科) 세종9년(1427) 친시 을과(乙科)
     노숙동(盧叔仝, 1403 癸未生) : 문과(文科) 세종18년(1436) 중시 을과(乙科)
     노개방(盧蓋邦, 1563 癸亥生) : 문과(文科) 선조21년(1588) 식년시 병과(丙科)
     노태현(盧台鉉, 1853 癸丑生) : 문과(文科) 고종22년(1885) 식년시 병과(丙科)
     노정원(盧廷元, 1722 壬寅生) : 문과(文科) 영조26년(1750) 식년시 병과(丙科)
     노홍기(盧弘器, 1590 庚寅生) : 문과(文科) 인조23년(1645) 별시 을과(乙科)
     노세하(盧世夏, 1657 丁酉生) : 문과(文科) 숙종24년(1698) 춘당대시 병과(丙科)
    등 모두 6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6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44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송화
    풍천(豊川)은 황해도에 있었던 옛 지명으로 고구려 깨에는 구을현(仇乙縣) 또는 굴천(屈遷)이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 굴현현(屈峴縣)으로 개칭하고, 양악군(楊岳郡: 安岳)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초에 풍주(豊州)로 이름을 바꾸고, 995년(성종 14) 도호부로 승격하였다가 1018년(현종 9) 군으로 강등되고 방어사(防御使)가 설치되었다. 1395년(태조 6) 진(鎭)이 설치되었고 병마사(兵馬使)가 지주사(知州使)를 겸했으며, 1413년(태종 13) 군현제 개편 때 은율(殷栗)을 합병하여 풍율군(豊栗郡)이라 하였다가 곧 분리하였다. 1469년(예종 1) 왕비 안순왕후 한씨의 외향(外鄕)이라 하여 풍천도호부(豊川都護府)로 승격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풍천군이 되어 해주부 관할이 되었다가, 1896년 황해도 풍천군이 되었다. 1909년 풍천군을 폐지하여 송화군(松禾郡)에 합병했으나, 1967년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 때 대부분의 옛 풍천도호부 지역이 과일군으로 분리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풍천노씨는
    1985년에는 7,978가구 33,300명, 2000년에는 12,183가구 39,39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5,20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