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강증(康拯)
시조 강증(康拯)은 고려시대의 문신으로 시호는 경양(景襄)이다. 음보로 양온사(良醞史)가 되어 10년 동안 이역(吏役)을 지냈다. 원래 가세(家世)가 한미하고 별다른 기능은 없었으나, 평소 부지런하고 조심스럽게 일을 보았다. 뒤에 군기주부동정(軍器注簿同正)에 올랐으며, 다시 외직에 임명되어 영인진판관 진명도부서부사(寧仁鎭判官鎭溟都部署副使)로 재직중 여진과 싸워 여러번 공을 세웠다.
특히, 1097년(숙종 2) 동여진(東女眞)의 적선 10척이 동북면 진명현(鎭溟縣)에서 약탈을 자행하자, 동북면병마사 김한충(金漢忠)의 명으로 적과 싸워 배 3척을 노획하고 48인을 베었다. 이어 감찰어사가 되고, 1098년에는 중윤(中允), 1101년 고공낭중 어사잡단(考功郞中御史雜端)으로 승진되었다. 뒤에, 동북면병마판관이 되어 능도(菱島)에서 다시 여진과 싸워 이긴 공으로,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에 올랐다.
1105년(예종 즉위년)에 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가 되고, 1107년 윤관(尹瓘)의 여진정벌 때는 좌군지병마사(左軍知兵馬事)로 종군하여 공을 세웠으므로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에 올랐다. 1111년에는 서북면병마사, 1112년 어사대부(御史大夫), 1113년 형부상서가 되고, 호부상서 삼사사(戶部尙書三司使)를 거쳐 지추밀원사가 되었다. 1114년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추밀원사(樞密院使)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한 뒤, 1116년에는 수사공(守司空) 참지정사(參知政事) 판상서형부사(判尙書刑部事) 겸 태자소부(太子少傅)가 되고, 이듬해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올라 사직했다.
주요 인물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옹진군과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도 일대
강령(康翎)은 오늘날 황해도 옹진군(甕津郡) 일원과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도 일대의 옛 지명이다. 고구려 때에는 부진이(付珍伊)와 곡도(鵠島)로 불렸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폭지군(瀑池郡:海州)에 속하게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부진이를 영강으로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는 영강을 옹진현에 편입하였다.
1414년(태종 14)에 장연(長淵)과 병합해 연강이라 하였으나 곧 영강으로 복구했고, 1428년(세종 10) 백령을 병합해 강령현(康翎縣)으로 개편하였다. 1896년에 황해도 강령군(康翎郡)이 되었다가, 1909년 일부 지역이 옹진군에 병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강령강씨는
1985년에는 12가구 72명, 2000년에는 305가구 95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