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승평강씨(昇平康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강해성(康海成, 1645 乙酉生) : 무과(武科) 숙종4년(1678) 증광시 병과(丙科)
강명암(康命巖, 1716 丙申生) : 역과(譯科) 영조11년(1735) 식년시 ()
강명오(康命五, 1724 甲辰生) : 의과(醫科) 영조32년(1756) 식년시
강천구(康天衢, 1668 戊申生) : 의과(醫科) 숙종19년(1693) 식년시
강성구(康聖衢, 1664 甲辰生) : 의과(醫科) 숙종13년(1687) 식년시
강만태(康萬泰) : 의과(醫科) 숙종9년(1683) 증광시
강후태(康後泰) : 의과(醫科) 숙종7년(1681) 식년시
강여태(康汝泰, 1646 丙戌生) : 의과(醫科) 숙종1년(1675) 증광시
강대립(康大立, 1612 壬子生) : 의과(醫科) 인조13년(1635) 증광시
강순검(康順儉) : 의과(醫科) 선조36년(1603) 식년시
등 모두 4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역과 1명, 의과 17명, 율과 1명, 주학 26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
승평은 순천의 옛이름이다. 순천(順天)은 전라남도 남동쪽에 위치하며 백제시대에는 함평이었으나 신라 경덕왕 때 승평(昇平)으로 고쳤으며, 983년(고려 성종 2) 지명을 순주(順州)·자주(慈州)·은주(殷州)로 고치고 각 주마다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곤해군절도사(袞海軍節度使)가 파견되고, 1012년(현종 3) 안무사로 고쳤다가, 1036년(정종 2) 다시 승평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때 부유현(富有縣)·돌산현(突山縣)·여수현(麗水縣)·광양현(光陽縣)을 속현(屬縣)으로 거느렸다. 1309년 승주목(昇州牧), 1310년 순천부(順天府)가 되었다. 1413년(태종 13) 군현제 개편 때 도호부로 승격하여, 조선시대 동안 순천도호부는 전라좌도 남부의 중심 역할을 하였다. 1479년(성종 10) 속현이었던 여수현(麗水縣)에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설치되어 전라좌도 해안방어의 군사적 요충지가 되었다. 순천의 별호는 평양(平陽)이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남원부 소속 순천군으로 개칭하고, 1896년 전라남도 순천군이 되었다. 1949년 8월 순천읍과 도사면 일부 해룡면 일부를 합하여 순천시가 되고 종래의 순천군은 승주군으로 개칭하였다. 1995년 순천시와 승주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형의 새로운 순천시가 되었다. 2003년 승주읍과 10면 1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승평강씨는
1985년에는 0명, 2000년에는 1가구 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