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목천마씨(木川馬氏)
유래
시조 : 마현(馬鉉)
백제 건국의 십제공신(十濟功臣)으로 좌보(左輔)의 벼슬을 역임한 마려(馬黎)를 시조로 받들고 있다. 그러나 문헌이 전하지 않아 윗대의 계보를 고증할 수 없으므로 마육침(馬陸沈)을 1세조로 하고 있다. 마육침은 서기 660년(백제 의자 왕 20, 신라 무열왕 7) 당(唐)나라 소정방(蘇定方)과 신라 김인문(金仁問)이 이끄는 13만 나당 연합군에 의하여 백제가 멸망하자 군사를 일으켜 옛 목지국(目支國)의 성거산(聖居山, 충남 직산)을 근거지로 백제 부흥전(復興戰)을 도모했던 장군이다. 그후 고려 문종 때의 마점중(馬占中, 마육침의 10세손)의 맏 아들 마현(馬鉉)이 목천마씨로 둘째 마혁인(馬爀仁) 장흥마씨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마지휘(馬之徽, 1725 乙巳生) : 문과(文科) 영조32년(1756) 식년시 병과(丙科)
마현겸(馬玄謙, 1631 辛未生) : 문과(文科) 효종5년(1654) 식년시 병과(丙科) 마맹하(馬孟河, 1701 辛巳生) : 문과(文科) 영조23년(1747) 식년시 을과(乙科) 마사인(馬思仁, 1755 乙亥生) : 문과(文科) 정조4년(1780) 식년시 병과(丙科) 마격(馬格, 1647 丁亥生) : 문과(文科) 숙종22년(1696) 식년시 병과(丙科) 마한량(馬翰良, 1813 癸酉生) : 문과(文科) 헌종2년(1836) 정시 병과(丙科) 마상원(馬尙遠, 1573 癸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39년(1606) 증광시 이등(二等) 마지광(馬之光, 1726 丙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23년(1747) 식년시 삼등(三等) 마지경(馬之烱, 1708 戊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23년(1747) 식년시 삼등(三等) 마지량(馬之良, 1721 辛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23년(1747) 식년시 이등(二等) 등 모두 2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6명, 생원진사시 20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
목천(木川)은 충청남도 천안시(天安市) 목천면 일대의 옛 지명으로 백제의 대목악군(大木岳郡)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대록군(大麓郡)으로 고쳐 금지현(金池縣: 全義)과 순치현(馴雉縣: 豊歲)을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목주(木州)로 개칭했으며, 1018년(현종 9)에 청주의 속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하여 연기현(燕岐縣) 감무를 겸하였다. 조선 태종 때에 연기현이 분리 독립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목천현이 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군이 되었으나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목천군은 폐지되고 목천면으로 축소되어 천안군에 편입되었다. 1920년 천안군 영성면을 천안면으로, 목천군의 일부였던 갈전면은 1942년에 이곳을 흐르는 병천(竝川)의 이름을 따서 병천면으로 개칭되하였다. 1931년 천안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가 1963년에 환성면 일대를 병합하여 천안시로 승격하였고, 1995년에는 천안군과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목천마씨는
1985년에는 1,225가구 5,234명, 2000년에는 941가구 2,98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586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