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선산김씨(善山金氏, 들성) - 김추계
유래
시조 : 김추(金錘)
시조 김추(金錘)는 신라 경순왕의 여덟째 아들로 경순왕과 고려태조 왕건(王建)의 맏딸 낙랑공주(樂浪公主) 사이에서 태어나 일선군(一善君)에 봉해졌다. 김추가 일선(선산)군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선산으로 하였다. 김추 이후의 세계가 확실하지 않으므로 김기(金起)를 1세조로 하고 있다. 인물
고려말 중서령공(中書令公) 김성원(金成元)의 아들 광주목사(廣州牧使) 김기(金起)가 기울어져 가는 사직을 개탄, 관직을 버리고 낙향해 선산군 옥성면 포상동 하송산 아래에 터를 잡았다.
이곳에서 여생을 마친 김기가 하송산에 묻히고 후손이 번성하면서 비좁은 골짜기를 벗어나 청룡산과 당산 줄기가 사방 20리나 병풍처럼 둘러싸인 남쪽 들판으로 옮겨 '들성'이라 이름 지은 것이 오늘날의 원호동(元湖洞)이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세렴(金世濂, 1593 癸巳生) : 문과(文科) 광해군8년(1616)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준(金準, 1825 乙酉生) : 문과(文科) 철종3년(1852)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진구(金振久, 1744 甲子生) : 문과(文科) 영조50년(1774)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효원(金孝元, 1532 壬辰生) : 문과(文科) 명종20년(1565)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진성(金鎭聲, 1755 乙亥生) : 문과(文科) 순조25년(1825) 알성시 병과(丙科) 김녕(金寧, 1567 丁卯生) : 문과(文科) 광해군4년(1612) 증광시 을과(乙科) 김숙자(金叔滋, 1389 己巳生) : 문과(文科) 세종1년(1419) 식년시 병과(丙科) 김낙수(金樂洙, 1721 辛丑生) : 문과(文科) 영조32년(1756) 정시3 병과(丙科) 김의원(金義元, 1558 戊午生) : 문과(文科) 선조24년(1591) 식년시 병과(丙科) 김경직(金敬直, 1569 己巳生) : 문과(文科) 광해군2년(1610)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28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8명, 무과 35명, 생원진사시 168명, 역과 14명, 의과 5명, 음양과 6명, 율과 2명, 주학 1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세거지
- 중서령공파(中書令公派) : 경북 선산군 고아면 원호동 속칭 들성(坪城)마을에 세거
- 판서공파(判書公派) : 함경도에 세거 - 좌의정공파(左議政公派) : 경기도에 세거 - 별장공파 (別將公派)평안도에 세거)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선산(善山)은 경상북도 서쪽에 위치 해 있으며 현재 구미시(龜尾市) 선산읍 일대의 옛 지명이다. 신라 눌지왕 때 일선군(一善郡) 또는 병정현(竝井縣)이 설치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에 숭선군(崇善郡)으로 개칭하였고 군위현(軍威縣)과 효령현(孝靈縣)·부림현(缶林縣) 등을 관할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 선주(善州)로 개편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상주의 속현이 되었다. 1143년(인종 21)에 일선현(一善縣)으로 승격되었다가 후에 선주(善主)로 다시 승격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선산군(善山郡)으로, 1415년에는 선산도호부(善山都護府)로 승격되었다. 화의(和義)라는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선산군이 되고, 1896년 경상북도로 이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선산면이 신설된 이래 1979년에는 선산면이 선산읍으로 승격하였고, 1995년에는 선산군이 구미시에 통합 되었다. 참고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