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선산김씨(善山金氏) - 일선
    유래
     시조 : 김선궁(金宣弓)
    시조 김선궁(金宣弓, 904~946)의 원래 이름은 김선(金宣)이다.
    김선궁은 신라 김알지(金閼智)의 30세손이자 문성왕의 8세손으로서 일선군사(一善郡事) 김체의(金體誼)의 아들이며, 대각간(大角干) 김민선(金敏善)의 손자요, 상대등(上大等) 김안(金安)의 증손으로 일선군(一善郡)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렸을때 아버지에게 상해를 입힌자의 목을 베고 처벌을 자청하여 투옥이 된후 조정에서 효자라며 석방하고 표창하였다.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를 정벌 할때 선산군에 머물면서 군사를 모집했는데 종군하여 단번에 큰 공을 세워 명장(名將)이 되었다. 당시 15세 였다. 태조가 기뻐하여 친히 소지한 활을 하사하고 선궁(宣弓)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그 후 왕건을 도와 삼국을 통일하는데 공을 세워 정란보국공신에 오르고 946년 별세하였다. 1054년(문종 8년) 12월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증직하고 일선백(一善伯)을 추봉(追封)하였으므로 일선이 본관이 되었다. 그러나 조선 태종때 일선이 선산으로 지명이 바뀌어 선산김씨로 본관이 바뀌게 되었다.
    인물
    - 김봉술계에서 고려 말의 절신(節臣)인 김제(金濟), 김주(金澍)와 조선시대의 좌의정 김응기(金應箕), 동인의 영수 김효원(金孝元), 판서 김이원(金履元), 김세렴(金世廉) 등이 있다.
    - 김봉문계에서는 거유(巨儒) 김숙자(金淑滋), 판서 및 학자인 김종직(金宗直) 등이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세렴(金世濂, 1593 癸巳生) : 문과(文科) 광해군8년(1616)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준(金準, 1825 乙酉生) : 문과(文科) 철종3년(1852)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진구(金振久, 1744 甲子生) : 문과(文科) 영조50년(1774)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효원(金孝元, 1532 壬辰生) : 문과(文科) 명종20년(1565)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진성(金鎭聲, 1755 乙亥生) : 문과(文科) 순조25년(1825) 알성시 병과(丙科)
     김녕(金寧, 1567 丁卯生) : 문과(文科) 광해군4년(1612) 증광시 을과(乙科)
     김숙자(金叔滋, 1389 己巳生) : 문과(文科) 세종1년(1419) 식년시 병과(丙科)
     김낙수(金樂洙, 1721 辛丑生) : 문과(文科) 영조32년(1756) 정시3 병과(丙科)
     김의원(金義元, 1558 戊午生) : 문과(文科) 선조24년(1591) 식년시 병과(丙科)
     김경직(金敬直, 1569 己巳生) : 문과(文科) 광해군2년(1610)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28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8명, 무과 35명, 생원진사시 168명, 역과 14명, 의과 5명, 음양과 6명, 율과 2명, 주학 1명)
  • ※ 과거급제자는 본관은 같으나 계통이 다른 성씨와 구분이 안된 것이다.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백암파(白巖派)
    27世
    성(聲)
    28世
    문(文)
    29世
    환(煥)
    30世
    수(壽)
    31世
    연(鍊)
    32世
    하(河)○
    33世
    ○상(相)
    34世
    희(熙)○
    35世
    ○철(鐵)
    ○록(錄)
    36世
    택(澤)○
    철(澈)○
    37世
    ○수(樹)
    ○모(模)
    38世
    조(照)○
    휘(輝)○
    39世
    ○곤(坤)
    ○벽(壁)
    40世
    진(鎭)○
    현(鉉)○
    탁(鐸)(○
    41世
    ○하(河)
    ○윤(潤)
    42世
    영(榮)○
    락(樂)○
    기(機)○
    43世
    ○환(煥)
    ○엽(燁)
    44世
    전(填)○
    대(垈)○
    45世
    ○석(錫)
    ○령(鈴)
    46世
    영(永)○
    원(源)○
    47世
    ○동(東)
    ○백(柏)
    48世
    희(熙)○
    경(炅)○
    49世
    ○균(均)
    ○증(増)
    50世
    ○록(錄)
    ○철(鐵)
    51世
    -
    52世
    -
    53世
    -
    54世
    -
    55世
    -
    56世
    -

     간의공파(諫議公派)
    31世
    ○용(容)
    32世
    교(敎)○
    33世
    ○석(錫)
    34世
    홍(泓)○
    영(泳)○
    35世
    ○동(東)
    36世
    병(炳)○
    37世
    ○기(基)
    38世
    진(鎭)○
    39世
    ○태(泰)
    40世
    양(梁)○
    41世
    ○형(炯)
    42世
    재(在)○
    43世
    ○현(鉉)
    44世
    옥(沃)○
    45世
    ○환(桓)
    46世
    -
    47世
    -
    48世
    -
    49世
    -
    50世
    -

     농암파(籠巖派)
    31世
    ○수(洙)
    32世
    의(義)○
    33世
    ○환(煥)
    34世
    교(敎)○
    35世
    ○종(鍾)
    36世
    한(漢)○
    영(泳)○
    37世
    ○수(秀)
    ○림(林)
    38世
    희(熙)○
    39世
    ○규(圭)
    ○중(中)
    40世
    진(鎭)○
    41世
    ○철(澈)
    ○영(永)
    42世
    상(相)○
    43世
    ○열(烈)
    44世
    기(基)○
    45世
    ○현(鉉)
    46世
    -
    47世
    -
    48世
    -
    49世
    -
    50世
    -

     양양공파(良襄公派)
    30世
    ○용(容)
    31世
    교(敎)○
    일(日)○
    32世
    재(在)○
    기(基)○
    33世
    ○호(鎬)
    ○종(鍾)
    34世
    영(永)○
    수(洙)○
    35世
    ○근(根)
    ○식(植)
    36世
    병(炳)○
    형(炯)○
    37世
    ○규(圭)
    ○배(培)
    38世
    진(鎭)○
    화(樺)○
    39世
    ○순(淳)
    ○철(澈)
    40世
    상(相)○
    상(相)○
    41世
    ○섭(燮)
    ○열(烈)
    42世
    채(埰)○
    곤(坤)○
    43世
    ○용(鏞)
    ○현(鉉)
    44世
    해(海)○
    준(準)○
    45世
    ○권(權)
    ○환(桓)
    46世
    -
    47世
    -
    48世
    -
    49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1世孫은 30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선산(善山)은 경상북도 서쪽에 위치 해 있으며 현재 구미시(龜尾市) 선산읍 일대의 옛 지명이다. 신라 눌지왕 때 일선군(一善郡) 또는 병정현(竝井縣)이 설치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에 숭선군(崇善郡)으로 개칭하였고 군위현(軍威縣)과 효령현(孝靈縣)·부림현(缶林縣) 등을 관할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 선주(善州)로 개편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상주의 속현이 되었다. 1143년(인종 21)에 일선현(一善縣)으로 승격되었다가 후에 선주(善主)로 다시 승격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선산군(善山郡)으로, 1415년에는 선산도호부(善山都護府)로 승격되었다. 화의(和義)라는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선산군이 되고, 1896년 경상북도로 이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선산면이 신설된 이래 1979년에는 선산면이 선산읍으로 승격하였고, 1995년에는 선산군이 구미시에 통합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선산김씨(일선)는
    1985년에는 0명, 2000년에는 34,422가구 109,68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38,819명으로 조사되었다.
  • ※ 2015년 인구조사에서는 본관은 같으나 계통이 다른 성씨를 구분하여 조사하지 않았다.
  • 참고사항
    - 김추(金錘)를 시조로 하는 선산김씨(들성)도 있다.
    - 과거 급제자와 인구는 선산김씨(들성)와 구분이 안된 것이다.
    ☞ 선산김씨(들성)